Dreaming of Civic Space in a Dystopian State
Looking rather docile and stiff at the podium, Kim Swoo-geun, otherwise known for his braggadocio and blatant disregard for formalities, is dressed in a dark business suit and straining to read from a prepared congratulatory speech at the opening of a symposium for highway construction technology. Kim Swoo-geun, still in his late thirties, had just been promoted as the head of Korea Engineering Consultants Corp. (KECC) in April of 1968, but he and his team of young architects had been involved with KECC since 1966 when Kim officially merged his atelier with KECC to form its Urban Planning Division. This awkward cohabitation, which lasted for three years until Kim and his team left KECC to establish the Laboratory for Human Environment in 1969, produced some of the most ambitious and experimental projects in the early years of Korea’s modern architecture. Unlike Raphael Hythloday in Thomas More’s Utopia, who refused to serve the prince since “the difference is only a matter of one syllable……between service and servitude”, Kim Swoo-geun, who would later earn the nickname “Lorenzo of Korea”, eagerly cemented a tight, and often mischievous alliance with the military leaders of Korea’s Third Republic. Was it a patriotic desire for rebuilding the poverty-stricken nation that motivated Kim Swoo-geun’s service to General Park Chung-hee, who was not exactly a philosopher-king, or was it Kim’s selfish desire to satisfy his inflated ego as an architect-hero that made him politically blind and mute? Perhaps Kim and his team of young architects understood that the only way to carry out their avant-garde agenda was through state sponsorship, or they understood active resistance was futile and would result in expulsion and exile, as was the case with Kim Joong-up who went into exile in France until 1979. The only option left for them might have been a retreat from reality and escape into the realm of the imaginary.

For South Koreans, the decade of 1960s began with a burst of optimism when the April Revolution—a student-led political uprising in 1960, successfully toppled Syngman Rhee’s corrupt regime. But the military coup d’étatof 1961, led by General Park Chung-hee, quickly extinguished the flame of hope for cultural openness and individual freedom, and instead ushered in two decades of brutal authoritarian rule. The Third Republic of Korea, followed by the Yushinconstitution of the Fourth Republic which prolonged indefinitely the totalitarian repression justified by the imminent threat of war, was a Platonic prototype for a dystopian state. The complex web of historical events that unfolded during 1960s undoubtedl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public of Korea, but many older Koreans prefer to erase their memories from the sixties, or drastically revise them to suit their politically biased historical narratives. It is critically important, however, to put together all of the loose historical fragments from the postwar fifties and sixties into a plausible narrative becaus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s modern architects launched their careers during this time, establishing a formative legacy that still remains mostly undocumented and incomprehensible today. By salvaging the faint images and drawings left by the visionary dreamers of these years, a new generation of architects today may reawaken forgotten spirits, which will inspire them to dream of utopia, once again.
Unlike the conventional history of built monuments, a story of utopia deals with the unrealized dreams and desires for a new world, and it is this story of the “other half” that made the brutal decades of 1960s tolerable for Koreans. The tales of their yearnings for a better future was a story of resilience and defiance, and their reality would gradually begin to resemble their fantasy. As Lewis Mumford observed, “the cities and mansions that people dream of are those in which they finally live……and out of generous dreams come beneficial realitie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rchitects were civil and cultural leaders who first visualized the “generous dreams” for the Korean republic, and it was the architects of KECC who were at the vanguard of Korea’s utopian enterprise. But many of their projects and activities have received little or no critical attention by scholars and historians, who dismissed them as willful fantasies, or mere political propaganda never meant for realization. By sorting through the ashes of their dreams, the history of the other half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will eventually be able to offer a composite portrait of the emergent identity for Korean architects, and the story of KECC forms the core foundation of this nascent discourse. Kim Swoo-geun addressed his fellow architects and engineers of KECC on the day of his inauguration as its second president with a grandiose rhetoric, befitting their utopian mission: “Our era is asking our KECC to be the flag bearer of the new century at the forefront of technological revolution for the world civilization. In an era characterized by a serious loss of humanity, our great task is to tackle many projects for creation of better human environment through technology.”[1]Boldly proclaiming the “loss of humanity” as the condition of their era, Kim and his team tirelessly carried out a series of progressive projects that collectively sought to restore human dignity through new forms of urban public space.
In their urban master plan for Jongmyo-Toegyero Corridor, with the Sewoon Arcade as its anchor project, Kim and his team proposed a new form of public space, unprecedented in Korean urbanity—a pedestrian-only public promenade. The elevated deck removed from the travails of city life below was again the main civic feature in their subsequent proposal for the Yeouido Masterplan. Their design for Yeouido was essentially an expanded version of the Sewoon Arcade, where the elevated promenade of Sewoon was stretched and multiplied to become an elevated public plaza spanning six rows of megastructures. This wide expanse of free space formed the core of the ideal city of Yeouido, where its citizens would exercise a full liberty to determine their own paths. Their vision for the new civic space of Sewoon and Yeouido also radically challenged the established notion of land ownership, in that their plan required a vast amount of public investment and legal readjustment of property rights. “Private land ownership in an urban setting,” explained the architects of KECC, “merely means a temporary right to use the space above the land.” For them, the land was not a form of private property to be subdivided for sale and accumulation of wealth, but a “natural core of a city” and an “abstract concept” rather than “real estate.”
Their obsession with the streets and the voids between buildings may have stemmed from their vivid memories of the heroic events that had unfolded in the ordinary streets and vacant lots of Seoul and other regional capitals. The architects of KECC recognized the urban streets and outdoor public spaces to be an ideal arena for civic activism, and their projects relentlessly sought to expand them. “The citizens possess an inherent right to their city,” proclaimed the architects of KECC in their final report for the Yeouido Masterplan, “and they will be able to experience a new form of urban life by exercising their rights.” Despite the scars from the violence of military coups and massacres, which deformed many public spaces into battle fields, and despite the ill-conceived layout of many public spaces, blatantly configured and fine-tuned for surveillance, emergency drills, and military parades, Korea’s urban public spaces retain their allure as a unique venue for expression and expansion of civil liberty. Undaunted by the totalitarian regime who justified their rule of terror by perpetuating a myth of inevitability of war, Korean citizens repeatedly risked their lives on city streets, public plazas and university campuses for massive pro-democracy demonstrations throughout the past fifty years. This succession of civil defiance—the April 19 Revolution (1960), the May 18 Democratic Uprising (1980), the June Struggle (1986), culminating in the recent series of peaceful street protests, now known as the Candlelight Struggle (2016-2017), transformed ordinary urban environments of Korea into sacred sites of civic resistance. Today, architects once again occupy a uniquely privileged position within our society. Avant-garde artists and architects understand the dehumanizing effects of totalitarian dystopia, and architects, in particular, can make direct impact on the course of social progress by revising the environmental context ahead of social change. As the utopian dreamers of KECC remind us, architects today must once again “assume the position of an ordinary citizen to breathe and feel together with them. All thoughts and ideas must be based on a feeling of affection toward the citizens. All attempts and aspirsations must be derived from a position of creative servitude toward the citizens.[2]
KECC의 산책로를 거닐며 시민 공간을 꿈꾸다
형식 따위에는 관심도 없을 듯한 뻔뻔한 표정으로 갈색 나팔 바지와 깃 넓은 빨간 셔츠를 풀어헤쳐 입었던 그의 여느 모습과 달리 얌전하게 차려 입은 정장 옷깃 위에 큰 꽃을 달고 단상에 올라 누군가 대신 써 놓은 듯한 개회사를 열심히 읽고 있는 김수근의 모습은 그가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기공/KECC)의 2대 사장이었던 1968년 10월에 <고속도로 건설기술 심포지움>이라는 공식 행사를 기록한 사진 속에 담겨 있다. 아직 30대 후반의 젊은 김수근이 기공의 사장으로 부임한 것은 1968년 4월이었으나, 이미 김수근은 1966년부터 기공 내에
설립된 도시계획부에 그와 함께 일했던 윤승중 이하 젊은 건축가들을 모두 귀속시켰고, 사실상 설립 당시부터 기공의 최고 책임자 역할을 담당했다. 김수근 팀과 기공의 어색한 공생은 1969년 그가 인간환경연구소를 만들며 독립할 때까지 3년 동안 지속 되었고, 그 숨가뿐 3년의 기간 동안 김수근 팀이 만들어낸 다수의 설계도서들과 보고서들은 한국 근대 건축의 초기에 활동을 시작한 젊은 건축가들의 야심 찬 실험들이었다.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 속에 국가 또는 통치자를 위해 일하는 것에 대한 주인공 라파엘의 경고가 나오는데, 그 말이 당시 김수근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인 듯 하다. 라파엘은 “봉사(service)와 종속(servitude)은 단지 한 음절 차이”라는 이유로 왕자의 밑에서 일하는 것을 거절했다. 반면, <한국의 로렌조>로 불렸던 김수근은 박정희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적극적으로 국가를 위해 일했다. 김수근이 박정희 정권에 종속되어 일한 것이 개발 국가를 통해 가난을 극복하려는 애국심에서 비롯된 것이었는지, 아니면 이념이나 정치적인 것들에 대해서는 눈과 귀를 가리고 오로지 그의 작품을 실현하고자 했던 예술적 혼이 부른 이기심 때문이었는지는 우리가 쉽게 판단할 수 없다. 당시 김수근팀이 꿈꾸던 건축과 도시설계 개념들을 실현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은 개발 국가의 힘에 의지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아방가르드적 환상을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후원이 반드시 필요한 모순적 상황에 대해 옳고 그름은 따지는 것보다 현재 시급한 것은 그들이 남긴 잊혀진 자료들의 수집과 분류, 그리고 분석을 통해 부족한 역사적 담론의 근거를 서둘러 정립하는 일이겠다.
그 시대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오늘까지도 편견과 이념, 또는 연민의 굴레에 갇혀 건설적인 비평 담론으로 발전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한국의 1960년대는 4.19 혁명의 정신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꿈을 가득 품고 시작되었으나, 곧 이어 5.16 군사정변과 제3공화국의 출범으로 인해 문화적 개방과 개인의 자유를 열망했던 젊은이들의 꿈은 곧 좌절되고 말았다. 그 뒤 20여년에 걸쳐 한국의 지도자들은 냉전의 위기감 속에 정치적
억압을 정당화했고, 경제개발이라는 집단의 목표 아래 개인의 자유의지가 희생 되었다. 전세계가 비틀즈의 혁명을 따라 부르던 시절, 서구의 젊은이들이 유토피아의 실현을 꿈꾸며 평화와 혁명을 부르짖을 때 한국의 젊은이들은 디스토피아 속에서 침묵해야 했다. 그 시대의 중심에 있었던 다수의 개인들은 군부 독재 시기에 대한 각 개인의 기억을 지우고자 하는 치유적 욕망에 사로잡혀 망각 또는 왜곡으로 역사를 정리하고자 했고, 집단의 기억 대신 개인의 추억들이 역사를 대체해 왔다. 특히 그 시대에 관련된 건축적 역사는 소수 개인의 기억에 의해 변질되거나 과장 된 소설적 내러티브인 경우가 많다. 동시대 한국건축의 역사적담론을 배우기 위해 그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50년대와 60년대의 자료들을 찾아 보면, 1세대와 2세대의 업적에 관련된 자료의 부재 또는 편재로 인해 여전히 파편적인 기록들만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한국 건축가들의 작업에 대한 비평적 평가의 부재는 현재 한국 건축가들의 역사적 정체성에 대한 혼란으로 이어지고, 빈약한 정체성은 한국의 건축이 독창적인 미래를 꿈꿀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되었다.
어려운 현실을 견디며 현재를 살아가려면 미래에 대한 꿈과 환상에 의지해야 한다. 특히 1960년대 한국의 건축가들은 다가올 미래에 대한 환상을 통해 당시의 혼란스럽고 어두운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몸부림쳤고, 가까운 미래를 위해 그들의 현재를 기꺼이 희생했다. 50년대와 60년대의 한국 건축가들이 폐허가 된 도시 위에 유토피아를 세우고자 야심 차게 그렸던 그림들과 그들이 쓴 글들을 다시 재조명하고 그 뒤에 담긴 다양한 의미들을 밝히는 노력을 통해 그들의 잊혀진 영혼을 다시 깨운다면, 미래에 대한 꿈이 사라진 듯한 오늘의 건축가들도 다시 한번 유토피아를 꿈꿀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겠다. 루이스 멈포드는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사람들이 현재 꿈꾸는 도시와 저택들은 결국 미래에 실현 될 도시와 저택들의 표본이 되기에, 꿈이 더 관대할 수록 미래는 더 유익하게 될 것이다.” 김수근 팀이 KECC를 통해 생산한 유토피아적 사업들은 한국 건축 속에서 잊혀진 유토피아의 담론을 다시 세우기 위한 초석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김수근이 기공의 제2대 사장으로 부임하며 남긴 거창한 연설문을 보면 그들의 존재적 가치가 현실보다 유토피아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대가 우리들의 기술공사로 하여금 세계문명을 위한 기술혁명의 선두에 나서서 새 세기를 향한 기수가 되기를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심각하게 인간성을 상실해가고 있는 우리들의 시대를 위하여 우리의 기술은 인간환경창조라는 대명제와 함께 해결하여햐 할 많은 과제를 부여받고 있습니다.”김수근팀이 진행한 퇴계로-원남로 개발계획에서 특히 세운상가의 공중 데크와 여의도 마스터플랜의 입체도시계획을 보면, 그들이 꿈 꾸었던 미래의 모습 속에서 보행 전용 산책로, 또는 광장이라는 한 가지 구체적 요소가 반복 된 것을 볼 수 있다. 가난하고 번잡한 길거리의 현실로부터 순간이동을 통해 벗어난 듯한 공중 데크는 세운상가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여유롭게 산책을 즐기며 여가를 누리는 미래의 거리 모습은 곧 다가올 부유한 미래의 상징이었다. 김수근이 더 긴밀히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중간보고서 단계의 여의도마스터플랜은 사실상 세운상가를 여섯 배로 반복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건축적 어휘와 스케일이 비슷한데, 여의도 계획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중 데크였고, 세운상가와 달리 중앙에 큰 광장을 형성하며 여의도라는 이상적인 미래도시의 중심에 자유로운 보행 공간, 또는 시민 공간을 두었다. 그들은 시민들이 가고 싶은 곳으로 걷고, 언제나 여유 있게 살며,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자유로운 도시를 꿈 꿨고, 개인의 자유가 도시를 통해 표현되기를 원했다. 보행 데크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토지의 소유권과 사용권을 분리하는 토지공걔념을 제안했고, 단순한 택지조성이 아닌 시민의 공간을 구성하는 도시계획을 시도한 것도 기공의 업적이었다. 여의도마스터플랜 보고서는 일반 시민들에게 도시에 대한 근본적인 권리가 주어진다는 것을 주장했다: “시민은 도시설계에 참여할 권리를 갖고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은 그들의 권리로 인하여 새로운 도시생활을 체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유토피아를 꿈꾸는 전위적 작가들은 도시의 공간들이 억압과 감시의 수단으로부터 자유와 개방의 통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때문에 미래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도시 속에 온전한 시민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사회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50년 전 기공의 젊은 건축가들은 이미 이해했고, “항상 평범한 시민의 입장으로 돌아가 시민과 함께 호흡하고 함께 감지”하며 “모든 사고와 인식은 시민을 향한 애정으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한 우리의 시도, 추구는 시민을 위한 창조적 봉사자의 입장으로 귀납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그들의 꿈이 언젠가 실현되려면, 오늘의 건축인들도 다시 한번 “새 세기를 향한 기수”의 역할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어진 건물들과 기념비들을 주로 다루는 일반적인 역사와 달리 유토피아의 역사는 실현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세상을 향한 변화의 원동력이 된, 꿈과 욕망을 담은 글과 그림의 역사다. 60년대 한국의 건축가들이 맡은 역할은 모든 국민들에게 관대한 꿈을 선사하는 것이었고, 기공의 김수근팀이 그려낸 미래의 모습들은 현실적인 실현 가능성보다 희망과 꿈을 최대한 키우기 위한 수단이었다. 우리가 그들의 그림과 글을 단순히 정치적 프로파간다 또는 터무니 없는 공상과학소설 쯤으로 해석하는 대신 탁월한 유토피아적 과제로 바라볼 때, 그 들이 남긴 희미한 꿈의 잿더미 속에서 잊혀진 미래의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1]“시대가우리들의기술공사로하여금세계문명을위한기술혁명의선두에나서서새세기를향한기수가되기를요구하고있는것입니다. 심각하게인간성을상실해가고있는우리들의시대를위하여우리의기술은인간환경창조라는대명제와함께해결하여햐할많은과제를부여받고있습니다.” (April 10, 1968)
[2]“도시설계자는항상평범한시민의입장으로돌아가시민과함께호흡하고함께감지할수있어야한다. 그의모든사고와인식은시민을향한애정으로부터출발하지않으면안되며또한그의시도, 추구는시민을위한창조적봉사자의입장으로귀납하는것이어야한다.”